소식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의 최근 소식과 활동을 알려드립니다. 

활동소식


곶자왈 생태교육제 8회 2025 곶자왈 생물종탐사(2025.06.14.)

2025-06-16

곶자왈에서 전문가와 함께 생물종을 찾아 기록하고 목록으로 만드는 참여 활동인 '2025 곶자왈 생물종탐사'가 지난 14일, 교래자연휴양림 일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프로그램에는 학생과 학부모 56명이 참가해 생물 종 별 5개 팀으로 나뉘어 탐사 활동을 펼쳤으며, 식물 분야 문성필 전문강사, 곤충 분야 민동원 전문강사, 곤충-나비,나방 분야의 이가은 전문강사, 조류 분야 조영균 전문강사, 버섯 분야 이승학 전문강사가 교육 진행을 맡았습니다. 

탐사 결과 총 248종의 생물종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식물 프로그램]

식물 프로그램을 운영해주신 문성필 전문강사님은 제주 식물의 생태적 , 문화적 가치를 전하며 제주의소리에서 '한라산의 식물 이야기' 를 연재하고 계십니다.  생물종탐사 날에도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제주 자연의 깊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간으로 더욱 풍성하게 채워졌습니다.



[곤충A(나비, 나방) 프로그램]

올해는 곤충분야를 곤충A (나비,나방) 과 곤충B 파트로 나누어서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곤충A (나비,나방) 프로그램을 운영해주신 이가은 전문강사님은 산림청 숲 해설가 양성 과정과 환경부 자연환경해설사 양성 과정의 곤충분야를 맡아 강의를 하고 계십니다. 현장에서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진행된 곤충A(나비,나방)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곤충의 생태에 대한 흥미로운 시선과 깊이 있는 배움을 전해주었습니다. 


[곤충B 프로그램]

곤충B 프로그램은 10년 이상 제주에서 곶자왈의 딱정벌레목 곤충을 연구해온 민동원 전문강사님이 운영해주셨습니다. 여러해 동안 곶자왈생물종탐사 곤충 프로그램을 맡아서 운영해주고 계시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강사님과 함께 직접 곤충을 채집해보는 활동에 참여하며, 곤충의 생태를 몸소 체험하고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더욱 키울 수 있었습니다.


[조류 프로그램]

조류 프로그램은 '제주 바다를 누비는 매'의 공동 저자이자, 제주습지연구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신 조영균 전문강사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비 소식이 계속 예보되어 많은 조류를 관찰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지만, 뜻밖에도 약 25종의 새를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긴꼬리딱새를 만나는 행운도 있었습니다. 



[버섯 프로그램]

버섯 프로그램 진행은 제주 곶자왈 지대의 버섯 종 다양성을 연구하는 이승학 전문강사님이 진행해주셨습니다. 민동원 전문강사님과 마찬가지로 여러해 저희와 함께 버섯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고 계십니다. 현장경험이 풍부한 강의 덕분에 참가자들이 곶자왈의 버섯 생태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Talk 프로그램]

오전, 오후 탐사 프로그램을 마치고 탐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퀴즈도 풀어보고 이야기도 나누어보는 Talk 프로그램 시간입니다. 많은 참여자들이 탐사에서 본 것을 떠올리며 적극적으로 퀴즈에 참여했고,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배움을 되짚어보는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비 예보가 있어 걱정을 많이 했는데, 곶자왈 생물종탐사 시작과 동시에 맑은 하늘이 나타났습니다. 덕분에 참여자들은 즐겁게 탐사활동을 펼쳤으며, 참여자들의 밝은 표정과 진지한 태도를 통해 배움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전문가들과 함께 생물 다양성을 직접 관찰하며 곶자왈 생태계의 소중함을 몸소 느낄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곶자왈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관심을 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유번호. 616-82-20355   이사장. 김범훈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 (교래자연휴양림 내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

전화번호. 064-783-6047 / 064-784-6047   FAX. 064-783-6048   Email. jawaltrust@naver.com 

곶자왈생태체험관. 070-4543-2373 (매주 월요일 휴관)

Copyright ⓒ 2025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 All rights reserved. 

admin